5월 11일부터 정부 재난지원금 신청이 시작됐다.
빠르면 12일부터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어디서 어떻게 써야 하는지 혼란스럽다.
정부 지원금 말고도 각 지역 지원금이 뿌려졌기 때문이고,
지원금 별로 사용처도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간단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아래 표는 서울을 기준으로 작성한 거다.
|
정부 재난지원금 (카드로 발급받은 경우) |
제로페이 (서울사랑상품권) |
각 지역사랑상품권 (서울시 지원금 포함) |
제로페이 가맹점 |
가능 |
가능 |
주소지 지역구에서 가능 -> 5월 25일자로 서울에서 사용 가능으로 변경 |
서울 소상공인 업체 (제로페이 가맹점 아닐 경우) |
가능 |
불가능 |
불가능 |
대형 마트 |
불가능 |
가능(일부) 예/ 이마트, 다이소 등 |
불가능 |
프랜차이즈 - 개인 가맹점 예/ 이니스프리, 맘스터치 등 |
가능 |
가능 |
가능 |
프랜차이즈 - 서울에 본사를 둔 직영점 |
가능 예/ 스타벅스, 폴바셋, 올리브영 등 |
불가능 |
불가능 |
배달 업체 |
대면 결제 시 가능 |
불가능 |
불가능 |
각종 병의원 및 약국 |
가능 |
가능 (제로페이 가맹점일 때) |
가능 (제로페이 가맹점일 때) |
자세히 살펴보자.
사용처 가장 많은 정부 재난지원금은
8월 말까지 사용하면 된다
정부 재난지원금은 전 국민에게 뿌려졌기 때문에
전국을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신의 주소지가 서울이라면 서울에서 사용 가능.
다만, 기본적으로 대형마트는 안 된다.
이왕이면 소상공인을 살리자는 취지다.
하지만 프랜차이즈라도 개인 가맹점은
소상공인으로 보기 때문에 사용이 된다.
또한, 프랜차이즈 본사 직영의 경우
본사가 위치한 지역 내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타벅스, 다이소 등은 본사가 서울이다.
아마 대부분의 프랜차이즈가 그렇지 않을까 싶다.
그러면 서울 안에서는 그런 곳에서
정부 재난지원금 사용이 가능하다.
아래, 그림처럼 서울에서 신청한 사람은
서울시 내 소상공인 업체 프랜차이즈 등에서
다양하게 쓸 수 있다.
그리고 사용하면 이렇게 안내 톡이 온다.
이건 카드사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겠다.
정부 재난지원금도 서울사랑상품권으로 받을 수 있지만
서울시지원금 처럼 10% 추가 지원은 없는 것 같다.
그렇다면, 굳이 서울사랑상품권으로 받을 이유가 있을까??
지류로 받을 경우 기간이 길다는 것 외엔 장점이 없는 듯.
핫해진 제로페이는와
서울시 지원금은 지역구 안에서 쓰기 좋다
제로페이는 서울시에서 만든 제도다.
그러니까 당연히 서울 기준이다.
서울시 지원금도 사용처가 비슷하다.
서울시는 지원금을
선불카드와 지역사랑상품권 두 가지로 지급했다.
제로페이는 서울시 안에서 사용하지만
지원금은 주소지 내 구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마포사랑상품권은 마포구에서만 사용 가능.
지역 제한이 있기 때문에 지역사랑상품권은
10%의 추가 지급이 있었다.
선불카드는 30만 원, 상품권은 33만원 지급.
앞서 말한 것처럼 정부 재난지원금도
서울사랑상품권으로 받을 수 있고,
서울시 지원금과 달리 지역구 제한이 없다.
제로페이 가맹점이 이전에는 많지 않았으나
최근 학원 등 실생활에서 유용한 곳들이
가맹점으로 들어오면서 대박 유용해 졌다.
원래 취지를 생각하면 이마트, 다이소도
제로페이 가맹점이 안 되는 게 맞지만
최근 가맹점이 됐고 이익은 사회로 환원한다고 한다.
제약 많은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처 제한이 많은 지역사랑상품권은
대신 받을 때 10% 더 지급이 됐다.
하지만 학원 미용실 등 큰 돈을 쓰지 않던
어르신들,
소소하게 생필품 위주로 소비하던 사람들에게는
불편이 너무 많다고 원성이 자자하다.
금액적인 이익이 있다지만
쓰지 못하면 뭔 소용일까 싶다.
서울시 지원금의 경우 6월 말까지 전부 소진해야 한다.
단, 지류상품권으로 받은 경우는 제외다.
그리고 지류로 받으면 재래시장 사용이 용이하고
차액을 현금으로 거슬러 받을 수 있다.
많이들 헷갈리는 것 중 하나,
정부 재난지원금은 서울사랑상품권이고,
서울시 지원금은 각 지역사랑상품권이다.
서울사랑은 서울 내에서 사용 가능,
지역사랑은 지역구 내에서만 사용 가능이다.
중구사랑상품권은 중구에서만!!
5월 25일자로 변경되어
지역상품권도 서울사랑상품권과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다!
'알아두면 쓸데있는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도서관 집에서 ‘무료’로 이용해 보자!! (0) | 2020.05.21 |
---|---|
탈모 고민, 탈모 샴푸로 부족하다면 두피 영양제를 써보자 (0) | 2020.05.19 |
김환기 ‘우주’ 현대갤러리 50주년 전시에서 보고 왔다! (0) | 2020.05.14 |
애플 사용후기;아이패드에어3/애플펜슬/스마트키보드 (1) | 2020.05.10 |
팀보타63:보타닉이펙트, KT로 50% 할인받기~ (0) | 2020.05.08 |